재테크, 자산관리 노트

✍️[1일차]GPT와 함께 점검한 나의 연금저축/ISA 포트폴리오

By량이 2025. 4. 28. 22:15

퇴근 후, 하루를 정리하는 짧은 시간.
나는 문득 나의 투자 포트폴리오가 궁금해졌다.

열심히 모아온 연금저축펀드와 ISA 계좌.
ETF로 분산 투자하고는 있지만,
이 구성이 과연 지금 나에게 맞는 걸까?

오늘은 나의 투자 파트너,
GPT와 함께 포트폴리오를 점검해보기로 했다.



현재 나의 포트폴리오 구성


1. 연금저축펀드 계좌 (미래에셋)
• KODEX 미국S&P500 ETF
• KODEX 미국나스닥100 ETF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2. ISA 계좌 (미래에셋)
• KODEX 미국S&P500 ETF
• KODEX 미국나스닥100 ETF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두 계좌 모두,
미국 대표 인덱스와 배당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가 짜여 있었다.

특히
• KODEX 미국S&P500 ETF를 통해 미국 대형주 전체 시장에 투자하고,
• KODEX 미국나스닥100 ETF로 기술주 중심의 고성장 섹터를 커버하고,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로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노리는 전략.

나름 고민해서 구성한 조합이었다.



발견한 문제점: 두 계좌의 전략이 거의 비슷하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니 한 가지 아쉬운 점이 보였다.

“연금저축펀드와 ISA 계좌,
자산 비중과 운용 전략이 거의 똑같다.”

연금저축펀드는
장기 투자 + 노후 자산을 키우는 목적이라서
더 공격적으로 운용해도 괜찮다.

반면 ISA 계좌는
5년 만기 이후 목돈 마련을 위해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잡아야 하는 계좌다.

계좌의 목표는 다르지만,
투자 전략은 똑같았던 것.

이건 분명 수정이 필요했다.



GPT에게 요청한 포트폴리오 보완 조언

나는 GPT에게 이렇게 물어봤다.

“내 연금저축펀드와 ISA 포트폴리오가 비슷해.
각각의 목적에 맞게 다른 전략을 짜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

GPT는 이렇게 제안했다.



연금저축펀드 포트폴리오
• KODEX 미국나스닥100 ETF 비중을 높여 성장성 강화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를 일부 섞어 수익 안정성 보완

최종 비율 제안:
KODEX 미국나스닥100 ETF 60%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40%

“연금은 장기 복리 효과를 노리기 때문에
초반에 변동성이 크더라도 성장성이 높은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ISA 포트폴리오
• KODEX 미국S&P500 ETF를 중심으로 안정성 확보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로 배당 수익 보완
• KODEX 미국나스닥100 ETF는 비중을 낮춰 리스크 관리

최종 비율 제안:
KODEX 미국S&P500 ETF 위주로 구성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로 수익 보완

ISA는 3년마다 만기예정이기 때문에,
성장성과 안정성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GPT는 강조했다.



내가 설정한 수정 방향


연금저축펀드 계좌 (공격적 성장형)
KODEX 미국나스닥100 ETF 60%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40%

→ 고성장 기술주와 배당주를 적절히 섞어 변동성을 줄이면서,
장기 복리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



ISA 계좌 (안정성+성장 균형형)
KODEX 미국S&P500 ETF 중심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로 보완

→ 미국 대형주 시장의 안정성과,
배당을 통한 현금흐름 확보를 동시에 노리는 전략.

KODEX 미국나스닥100 ETF는 비중을 줄이고,
ISA에서는 보수적으로 운용하기로 했다.



이번 점검을 통해 배운 것

“계좌별로 목적에 맞는 전략이 필요하다.”

단순히 ‘좋은 ETF’를 모은다고 끝나는 게 아니다.
• 어떤 자금인지,
• 언제 필요한 자금인지,
• 어떤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지,
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GPT와 함께 점검하면서,
내가 스스로는 잘 보지 못했던
구조적인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앞으로의 실천 계획
• 현재 계좌 ETF 비중 조절 (무리해서 손해보고 팔기 X)
• 3개월에 한 번 포트폴리오 점검
• 리밸런싱 기준 정립 (나스닥100/S&P500 간 균형 유지)
• 퇴근 후 30분 투자 공부 루틴 꾸준히 이어가기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

변화에 흔들리지 않고,
내 계획을 믿고 투자하기.

오늘도 작은 습관이 쌓인다.
퇴근 후 30분, GPT와 함께 부의 씨앗을 심는 시간.